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3)
[견관절] 전방 불안 검사(Anterior Apprehension Test) 검사자세 환자는 검사대에 앙와위(supine position)로 눕는다. 검사 환자의 환측 견관절(Shoulder joint)을 90도 외전(abduction ; abd)시키고 주관절(Elbow joint)을 90도 굴곡(flexion ; flex)시킨 후 천천히 견관절을 외회전(External rotation)시킨다. 검사소견 외회전을 시킬수록 환자가 불안한 표정을 보이거나 불안한 느낌을 호소하면 양성소견이다. 본 검사는 견관절이 전방 탈구(anterior dislocation)되는 위치와 동작을 취하여 환자의 불안정한 상태를 재현하는 것이다. 고려사항 검사 동작에 대해 단순히 불안감을 표현하는 것이 반드시 견관절 탈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견관절] 호킨스-케네디의 충돌 검사(Hawkins-Kennedy Impingement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상지를 이완한 채로 앉거나 선다. 검사자는 서서 한 손은 환자 주관절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목을 잡는다. 검사 검사자는 견관절을 90도 전방굴곡(forward flexion)시킨 후 내회전(internal rotation)시킨다. 검사소견 견관절 동통과 불안은 견관절 충돌, 특히 극상근 건(supraspinatus tendon)의 충돌(impingement)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이 검사는 견봉하 충돌(subacromial impingement)을 평가하는데 가장 민감한 검사이다.
[견관절] 니어의 충돌 검사(Neer Impingement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양팔을 이완한 채로 앉거나 선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 견갑골(후방)을 다른 손으로 환자의 주관절(전방)을 잡는다. 검사 검사자는 환자 견갑골을 고정시키고 견관절을 수동적으로 최대한 거상시킨다. 검사소견 견관절 동통과 불안감은 견관절 충돌, 특히 극상근(supraspinatus)과 상완이두근 장두(long head of the Biceps brachii) 의 충돌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만약 환자의 견관절 거상 제한이 해부학적 충돌과 관련없는 범위에서 나타난다면 위양성 소견(false positive)으로 볼 수 있다.
[견관절] 후방 충돌 검사(Posterior Impingement Test) 검사자세 환자를 검사대에 앙와위로 눕게 하고 견관절을 90~110도 외전(Abd.), 10~15도 정도 신전(Ext.)시키고 주관절을 90도 굴곡(Flex.)시킨다. 검사자의 한 손은 환자의 손목을 다른 손은 환자의 주관절을 잡는다. 검사 검사자는 환자의 견관절을 천천히 최대한 외회전(external rotation)시킨다. 검사소견 환자의 견관절 후방 동통이 재현된다면 회전근개(rotator cuff) 또는 후방 관절순(posterior labral)의 병변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이 검사를 불안 검사(apprehension test) 또는 재정복 검사(relocation test)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후방충돌검사는 견관절 후방에서 동통이 발생하지만 불안 검사와 재정복 검사는 견관절 전방에서 동통과..
반월상 연골 손상(Meniscal injuries)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그동안 각 관절(Joint)들의 기능해부학(Fuctional anatomy)에 대해 다뤘고 ​ 부상 기전(Injury mechanism)에 대해 올리려 했으나 내용이 너무 포괄적이라서 ​ 하나씩 올리기로 했습니다. ​ 오늘은 반월상 연골의 부상(Meniscal injurie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반월상 연골(Meniscus)에 대해서는 무릎 기능해부학에서 다뤘었으니 ​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 무릎 관절(Knee joint)에서 반월상 연골(Meniscus)의 중요성은 위에 보시면 나오니 확인하시면 되고요. ​ 반월상 연골(Meniscus)이 수행하는 기능의 대부분은 연골(Cartiliage) 보호와 관련이 있습니다. ​ 논외로 연골(Ca..
코어 활성화를 위한 복부 Hollowing과 Bracing 운동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코어 안정화를 이어가기에 앞서 코어의 안정화를 위한 운동에 대해 다루려고 합니다. ​ 복부 할로잉(Abdominal hollowing)과 복부 브레이싱(Abdominal bracing)입니다. 먼저 Abdominal hollowing에 대해 알아볼까요? ​ hollow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 쏙 들어간, 움푹 꺼진이 있네요. ​ 배꼽을 척추로 당기는(draw in navel) 운동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음 Abdominal bracing입니다. ​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죠. 버팀대처럼 무언가를 버텨내는 것 ​ ​ 누군가 배를 주먹으로 한대 친다고 상상해보죠. ​ 힘이 들어가겠죠?? ​ 반사적으로 힘이 들어가듯이 요추를 중심으로 복부를 팽..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3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코어 안정화 훈련 세 번째입니다. ​ 전에 다룬 코어 안정화에 대한 내용은 ​ 밑에 링크에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https://jungho0515.tistory.com/37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핵심입니다. ​ 네, 말 그대로 코어(core)입니다. 구글링을 core muscle로 검색을 하면 보기 쉽게 나온 사진들이 많긴 한데요. ​ 한 장의 사진으로.. jungho0515.tistory.com https://jungho0515.tistory.com/40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2 안녕하세요. ..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2 - 운동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의 보존적 치료(conservative Tx.) 주로 운동에 관해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대해 알아본 내용이 있었죠. https://jungho0515.tistory.com/39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알아보기 위해서는 척추분리증(spondylolysis)이.. jungho0515.tistory.com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척추전방전위의 등급(G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