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깨(Shoulder)

(5)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4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네 번째입니다. 어깨가 마무리되겠군요.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죠. 상완골(Humerus)에 작용하는 근육(musc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의 움직임은 ​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 ; GH joint)의 움직임에 의해 일어납니다. 하지만 외관상 움직임은 위에서 언급한 견갑골(Scapula)과 관련된 관절들의 움직임과 ​ 상완골(Humerus)과 관련된 관절들의 움직임을 합친 어깨 관절 복합체 전체의 움직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깨 하면 지겹게 나오는 회전근개(Rotator cuff)를 알아봐야겠군요. ..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3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어깨의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세 번째입니다. ​ 1, 2편에서는 어깨 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의 ​ 관절(joint)들과 운동형상학(Kinematics)에 ​ 대해 간략하다면..간략히 보고 넘어갔습니다. https://jungho0515.tistory.com/15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1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하나씩 하나씩 옮기고 있는 중입니다. 지나서 보면 왜 저렇게 썼지라고 생각할 때도 있고 다시 한번 공부하며 정리했던 내용들도 생각나네요. 머릿속으로는.. jungho0515.tistory...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2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어깨 기능해부학 1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어깨복합체의 여러 관절들에 대해 하나씩 알아봤는데요. 내용이 길어서 중간에 한번 끊었습니다. 1편에 이어 계속해 나가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알아볼 관절은 관절와상완관절(GH joint)입니다. 관절와상완관절(GH joint)은 상완골두(Humerus head)의 큰 볼록면(convex)과 ​ 관절와(Glenoid fossa)의 얕은 오목면(concave) 사이에 형성된 관절이죠. ​ 견갑골(Scapula)의 관절와(Glenoid fossa)는 얕은 오목면이라 무언가 ​ 더 깊게 해서 안정성을 만들어줄 것이 필요한데요. 바로 관절와순(Labrum)입니다. ​ 이 섬유연골성(Fibrocartilage) 테투리에 의해 ..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1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하나씩 하나씩 옮기고 있는 중입니다. 지나서 보면 왜 저렇게 썼지라고 생각할 때도 있고 다시 한번 공부하며 정리했던 내용들도 생각나네요. 머릿속으로는 다 알고 있지만 그걸 정리해서 글로 옮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더라구요. 다시 공부도 하고 정리하고 글로 쓰면서 지웠다가 바꿨다가 반복 또 반복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럴텐데 차차 나아지겠죠?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겠네요. 오늘은 어깨의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에 대해 ​ 알아보려 합니다. 어깨 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는 운동 범위가 광범위하면서도 ​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고 인체 내에서 가장 복잡한 관절입니다. ​ 운동 범위가..
어깨재활(Shoulder Rehabilitation)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어깨 재활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대부분의 내용들은 어깨 기능해부학에 있습니다. 그 내용들 중 재활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들 기억해야 할 것들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재활을 어떻게 해야 한다가 아닌 전반적인 내용이니 쭈욱 한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어깨복합체(shoulder complex)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서는 흉쇄관절(SC joint), 견쇄관절(AC joint), 상완와관절(GH joint) 등과 견흉관절(ST joint), 회전근개(rotator cuff)와 이를 덮고 있는 오구견봉궁(coracoacromial arch) 경계면 사이 등등 이 모든 곳에서 하나의 오차 없이 움직임이 조화롭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