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

(15)
[견관절] 전방 불안 검사(Anterior Apprehension Test) 검사자세 환자는 검사대에 앙와위(supine position)로 눕는다. 검사 환자의 환측 견관절(Shoulder joint)을 90도 외전(abduction ; abd)시키고 주관절(Elbow joint)을 90도 굴곡(flexion ; flex)시킨 후 천천히 견관절을 외회전(External rotation)시킨다. 검사소견 외회전을 시킬수록 환자가 불안한 표정을 보이거나 불안한 느낌을 호소하면 양성소견이다. 본 검사는 견관절이 전방 탈구(anterior dislocation)되는 위치와 동작을 취하여 환자의 불안정한 상태를 재현하는 것이다. 고려사항 검사 동작에 대해 단순히 불안감을 표현하는 것이 반드시 견관절 탈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견관절] 호킨스-케네디의 충돌 검사(Hawkins-Kennedy Impingement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상지를 이완한 채로 앉거나 선다. 검사자는 서서 한 손은 환자 주관절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목을 잡는다. 검사 검사자는 견관절을 90도 전방굴곡(forward flexion)시킨 후 내회전(internal rotation)시킨다. 검사소견 견관절 동통과 불안은 견관절 충돌, 특히 극상근 건(supraspinatus tendon)의 충돌(impingement)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이 검사는 견봉하 충돌(subacromial impingement)을 평가하는데 가장 민감한 검사이다.
[견관절] 니어의 충돌 검사(Neer Impingement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양팔을 이완한 채로 앉거나 선다. 검사자는 한 손으로 견갑골(후방)을 다른 손으로 환자의 주관절(전방)을 잡는다. 검사 검사자는 환자 견갑골을 고정시키고 견관절을 수동적으로 최대한 거상시킨다. 검사소견 견관절 동통과 불안감은 견관절 충돌, 특히 극상근(supraspinatus)과 상완이두근 장두(long head of the Biceps brachii) 의 충돌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만약 환자의 견관절 거상 제한이 해부학적 충돌과 관련없는 범위에서 나타난다면 위양성 소견(false positive)으로 볼 수 있다.
[견관절] 후방 충돌 검사(Posterior Impingement Test) 검사자세 환자를 검사대에 앙와위로 눕게 하고 견관절을 90~110도 외전(Abd.), 10~15도 정도 신전(Ext.)시키고 주관절을 90도 굴곡(Flex.)시킨다. 검사자의 한 손은 환자의 손목을 다른 손은 환자의 주관절을 잡는다. 검사 검사자는 환자의 견관절을 천천히 최대한 외회전(external rotation)시킨다. 검사소견 환자의 견관절 후방 동통이 재현된다면 회전근개(rotator cuff) 또는 후방 관절순(posterior labral)의 병변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이 검사를 불안 검사(apprehension test) 또는 재정복 검사(relocation test)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후방충돌검사는 견관절 후방에서 동통이 발생하지만 불안 검사와 재정복 검사는 견관절 전방에서 동통과..
[견관절] 교차 충돌 검사(Cross-Over Impingement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앉고 검사자는 서서 환자 체간을 안정시키기 위해 견관절의 후면에 한 손을 놓고 다른 손은 검사하는 팔의 주관절 부위를 잡는다. 검사 환자 체간은 고정시키고 견관절을 수평면상에서 수동적으로 최대한 내전시킨다. 검사소견 견관절 상부 동통은 견봉쇄골관절(acromioclavicular joint)의 병변을 의미한다. 견관절 전방 동통은 견갑하근, 극상근, 상완이두근 장두의 병변을 의미한다. 견관절 후방 동통은 극하근, 소원근, 후방 관절낭의 병변을 의미한다.
[견관절] 애플리의 스크래치 검사(Apley’s Scratch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앉거나 서고 검사자는 환자 옆에 선다. 검사 1 환자는 한 손으로 반대편 어깨를 잡도록 한다. 반대쪽 팔에 대해서도 같은 동작을 시행한다. 검사소견 1 양측을 비교하여 비대칭적인 결과가 나타난다면 양성소견(positive or +)이다. 환자가 반대쪽 어깨를 잡을 수 없다면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의 내전(adduction), 내회전(internal rotation) 및 수평굴곡(horizontal flexion)의 제한을 의미한다. 검사 2 환자는 팔을 머리 위로 하여 등을 긁을 때처럼 목뒤로 닿도록 한다. 반대쪽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한다. 검사소견 양측에서 비대칭적인 결과가 나타난다면 양성소견이다. 한쪽의 동작이 감소되어 있다면 이는 관절와상완관절(..
[요추] 황새 또는 황새 기립 검사 (Stork or Stork Standing Test) 본 검사는 외다리 기립 요추 신전 검사(one-leg standing lumbar extension test)로도 알려져 있다. 검사자세 환자는 한쪽 발로 서서 디디지 않은 쪽 발바닥을 디딘 쪽 무릎의 내측면에 붙인다. 검사 환자는 한 다리로 균형을 유지하고 선 상태에서 요추를 약간 신전시킨다. 본 검사는 양측을 반복해서 실시한다. 검사소견 요추부 동통은 협부(pars interarticularis) 병변과 연관되어 있고 이것은 때때로 척추분리증(spondylolysis)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고려사항 검사자는 검사하는 동안 양쪽 골반의 높이에 주의해야 한다. 중둔근(gluteus medius) 약화로 인한 골반 높이의 변화를 고유감각 이상으로 잘못 평가할 수 있다. 한 다리로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
[견관절] 상완 낙하 검사(Drop Arm Test) 검사자세 환자는 검사대에 앉거나 선다. 검사 검사자는 환자 환측 팔을 수동적으로 90도 외전하고 환자에게 천천히 팔을 내리도록 지시한다. 검사소견 환자가 팔을 옆으로 천천히 내릴 수 없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상당한 동통을 호소한다면 회전근개의 병변이 있음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검사 시행 전에 회전근개 병변(rotator cuff pathology)이 의심된다면 환자가 팔의 내전 운동을 조절할 수 없어 팔이 툭 떨어질 수 있으므로 검사자는 옆에서 보조할 준비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