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 발목(Foot & Ankle

(4)
족부 족관절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4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족부 족관절 기능해부학 3의 내용이 너무 길어 중간에 한번 잘랐습니다. 마저 이어서 4편을 올립니다. 마지막 심부근육군들입니다.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 TP) 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 ; FDL)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 FHL)이 있습니다. 후경골근(TP), 장지굴근(FDL), 장무지굴근(FHL)은 가자미근(Soleus)의 밑에 위치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경골(Tibia), 비골(Fibula), 그리고 골간막(interosseus membrane)의 뒤쪽에서 기시됩니다. 이 세 근육들은 발의 내측면(medial)을 통해 발의 저측면(plantar)으로 들어갑니다. 족관절과..
족부 족관절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3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족부 족관절의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세 번째입니다. ​ 일을 하면서 다른 케이스에 대한 공부를 하다 보니 이어서 나가지를 못했네요. ​ 먼저 그동안 발목 관절의 기능해부학을 두 번에 걸쳐 포스팅했습니다. 오늘은 근육(muscle)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 족관절과 발에는 외재근(extrinsic muscle)과 내재근(intrinsic muscle)이 존재합니다. ​ 외재근(extrinsic m.)들은 대부분 하퇴에 기시부(origin)를 가지고 있고 ​ 몇몇은 원위 대퇴부(distal femur)에 기시부(origin)를 가지고 있습니다. ​ 내재근(intrinsic muscle)들은 발(..
족부 족관절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2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족부 족관절의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두 번째입니다. ​ 첫 번째 시간에는 주로 발목 관절의 뼈(bone)와 움직임(kinematics)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https://jungho0515.tistory.com/28 족부 족관절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1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스포츠 활동에서 무릎의 부상도 많지만 ​ 그만큼 부상이 많은 부위가 또 있습니다. ​ 족관절(Ankle joint)이죠. 신용어로는 발목관절이군요. ​ 스포츠 활.. jungho0515.tistory.com 이번 시간에는 주로 인대(Ligamen..
족부 족관절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1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스포츠 활동에서 무릎의 부상도 많지만 ​ 그만큼 부상이 많은 부위가 또 있습니다. ​ 족관절(Ankle joint)이죠. 신용어로는 발목관절이군요. ​ 스포츠 활동 외에도 여성분들은 힐을 많이 신으시고 ​ 그로 인해 염좌(sprain)가 발생하는 경우도 꽤 있죠. ​ 오늘은 그 발목에 대한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을 하려 합니다. ​ 복잡하게 들어가면 끝이 없어서 간단하고 쉽게 정리를 해보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족관절(Ankle joint)을 보려면 하퇴도 같이 봐야 합니다. ​ 하퇴의 뼈들이 발과 만나서 관절을 이루고 있고 근육들 역시 ​ 하퇴와 발을 거쳐 기시(origin), 정지(insertion)하기 때문이죠. ​ 먼저 경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