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척추(Spine)

(7)
코어 활성화를 위한 복부 Hollowing과 Bracing 운동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코어 안정화를 이어가기에 앞서 코어의 안정화를 위한 운동에 대해 다루려고 합니다. ​ 복부 할로잉(Abdominal hollowing)과 복부 브레이싱(Abdominal bracing)입니다. 먼저 Abdominal hollowing에 대해 알아볼까요? ​ hollow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 쏙 들어간, 움푹 꺼진이 있네요. ​ 배꼽을 척추로 당기는(draw in navel) 운동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음 Abdominal bracing입니다. ​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죠. 버팀대처럼 무언가를 버텨내는 것 ​ ​ 누군가 배를 주먹으로 한대 친다고 상상해보죠. ​ 힘이 들어가겠죠?? ​ 반사적으로 힘이 들어가듯이 요추를 중심으로 복부를 팽..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3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코어 안정화 훈련 세 번째입니다. ​ 전에 다룬 코어 안정화에 대한 내용은 ​ 밑에 링크에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https://jungho0515.tistory.com/37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핵심입니다. ​ 네, 말 그대로 코어(core)입니다. 구글링을 core muscle로 검색을 하면 보기 쉽게 나온 사진들이 많긴 한데요. ​ 한 장의 사진으로.. jungho0515.tistory.com https://jungho0515.tistory.com/40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2 안녕하세요. ..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2 - 운동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의 보존적 치료(conservative Tx.) 주로 운동에 관해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대해 알아본 내용이 있었죠. https://jungho0515.tistory.com/39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알아보기 위해서는 척추분리증(spondylolysis)이.. jungho0515.tistory.com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척추전방전위의 등급(Gra..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2 안녕하세요. ​ 스포츠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첫번째 시간에는 코어의 대략적인 설명들 ​ 서론 느낌이었다고 보면 되는데요. ​ 밑의 링크에서 내용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https://jungho0515.tistory.com/37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핵심입니다. ​ 네, 말 그대로 코어(core)입니다. 구글링을 core muscle로 검색을 하면 보기 쉽게 나온 사진들이 많긴 한데요. ​ 한 장의 사진으로.. jungho0515.tistory.com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두번째입니다. ​ 해부학(Anatomy)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주로 알..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 알아보기 위해서는 척추분리증(spondylolysis)이 먼저죠. 척추분리증(spondylolysis)은 말 그대로 추체의 일부가 분리만 된 거고 분리된 후에 증상이 악화가 되면 척추의 분절 간에 전위가 발생하게 됩니다. 더 간단히 얘기하자면 뼈가 끊어지게 된 것이 척추 분리증 거기서 더 나아가 앞으로 이동한 것이 척추전방전위증이라 할 수 있죠. 이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원인(cause)은 스트레스 골절(stress fracture)에서 외상성 골절(traumatic fracture)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합니다. 전체 인구의..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핵심입니다. ​ 네, 말 그대로 코어(core)입니다. 구글링을 core muscle로 검색을 하면 보기 쉽게 나온 사진들이 많긴 한데요. ​ 한 장의 사진으로 표현하기에는 애매모호해서 신체 전부를 나타낸 이미지를 첨부했습니다. ​ 보이지 않는 코어 근육(core muscle)들도 많기도 하고요. 우리가 코어(core)가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 정작 정확히 무엇인지 설명하기는 힘들 수도 있는데요. ​ 설명이 잘 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 머릿속으로 상상하고 그려보고 ​ 직접 움직이고 동작도 해보면서 ​ 몸으로도 깨닫고 이해하려는 시도가 필요합니다. ​ 앉아서 책만 보면 잘 이해가 되지 않은 경우가 많죠. ​ 책은 쉽게 써놓을 수 있는 내용도 ..
코어 안정화 훈련(Core stabilization training) 4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12월은 꽤 바빴습니다. 코어에 대한 내용을 시작한 게 꽤 오래전인데 아직도 코어에 대해 정리를 하지 못 했군요. 이번이 코어의 마지막 내용이 될 듯합니다. 지난 시간에는 복부 할로잉(Abdominal hollowing)과 브레이싱(Abdominal bracing)에 대해 알아봤었는데요. 오늘은 코어의 전반적인 운동 / 훈련 방법에 대해 얘기하려 합니다. 코어를 지지하는 근육의 근력 강화도 중요하지만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는데요. 바로 신경근의 재훈련입니다. 이는 분절 안정화와 견고함(stiffness)를 제공하는데요. 코어 안정화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신경근 시스템을 사용하게 됩니다. 말이 쓸데없이 어렵네요. 쉽게 풀어보자면 골반(p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