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orts medicine base
등척성(Isometric), 등장성(Isotonic), 등속성(Isokinetic) 운동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필라테스, 요가 구기 종목들 그리고 스포츠 재활 모두 다양한 움직임들이 존재하죠. 운동의 형태에 따라 보통 세 개로 나눠집니다.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등속성 운동(Isokinetic exercise) 입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재활 운동에서의 다음 운동들이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대신 재활 운동에서는 어떤 부위에 어떤 수술을 했는지에 따라 금기될 수 있는 사항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반월상 연골 봉합술(Meniscus repair)을 했는데 FWB - Full Weight Bearing(완전 체중 부..
-
어깨(Shoulder)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1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하나씩 하나씩 옮기고 있는 중입니다. 지나서 보면 왜 저렇게 썼지라고 생각할 때도 있고 다시 한번 공부하며 정리했던 내용들도 생각나네요. 머릿속으로는 다 알고 있지만 그걸 정리해서 글로 옮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더라구요. 다시 공부도 하고 정리하고 글로 쓰면서 지웠다가 바꿨다가 반복 또 반복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럴텐데 차차 나아지겠죠?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겠네요. 오늘은 어깨의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어깨 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는 운동 범위가 광범위하면서도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고 인체 내에서 가장 복잡한 관절입니다. 운동 범위가..
-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
[견관절] 애플리의 스크래치 검사(Apley’s Scratch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앉거나 서고 검사자는 환자 옆에 선다. 검사 1 환자는 한 손으로 반대편 어깨를 잡도록 한다. 반대쪽 팔에 대해서도 같은 동작을 시행한다. 검사소견 1 양측을 비교하여 비대칭적인 결과가 나타난다면 양성소견(positive or +)이다. 환자가 반대쪽 어깨를 잡을 수 없다면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의 내전(adduction), 내회전(internal rotation) 및 수평굴곡(horizontal flexion)의 제한을 의미한다. 검사 2 환자는 팔을 머리 위로 하여 등을 긁을 때처럼 목뒤로 닿도록 한다. 반대쪽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한다. 검사소견 양측에서 비대칭적인 결과가 나타난다면 양성소견이다. 한쪽의 동작이 감소되어 있다면 이는 관절와상완관절(..
-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
[경추] 스펄링 검사(Spurling Test)
추간공 압박 검사(Foraminal Compression Test)라고도 한다. 검사자세 환자는 편안하게 앉고 검사자는 환자 머리 위에 양손 바닥면을 놓는다. 검사 환자가 외측으로 머리를 굴곡하는 동안 검사자는 하방으로 압박력을 가한다. 환자 머리를 반대쪽으로 외측굴곡한 뒤 검사를 반복한다. 이 때, 외측굴곡은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할 수 있다. 검사소견 압박력을 가하는 동안, 머리가 외측굴곡한 방향 상지에 동통을 호소하면 양성(pos.)소견이다. 이는 동통이 나타나는 피부분절 분포(dermatomal distributino)와 관련된 신경근 압박을 의미한다. 고려사항 골관절염, 류마토이드 관절염, 골다공증,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과 같은 병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는 환자의 척추 압..
-
발, 발목(Foot & Ankle
족부 족관절 기능해부학(Foot & Ankle Functional Anatomy) 1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스포츠 활동에서 무릎의 부상도 많지만 그만큼 부상이 많은 부위가 또 있습니다. 족관절(Ankle joint)이죠. 신용어로는 발목관절이군요. 스포츠 활동 외에도 여성분들은 힐을 많이 신으시고 그로 인해 염좌(sprain)가 발생하는 경우도 꽤 있죠. 오늘은 그 발목에 대한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을 하려 합니다. 복잡하게 들어가면 끝이 없어서 간단하고 쉽게 정리를 해보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족관절(Ankle joint)을 보려면 하퇴도 같이 봐야 합니다. 하퇴의 뼈들이 발과 만나서 관절을 이루고 있고 근육들 역시 하퇴와 발을 거쳐 기시(origin), 정지(insertion)하기 때문이죠. 먼저 경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