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lenohumeral

(4)
[견관절] 애플리의 스크래치 검사(Apley’s Scratch Test) 검사자세 환자는 앉거나 서고 검사자는 환자 옆에 선다. 검사 1 환자는 한 손으로 반대편 어깨를 잡도록 한다. 반대쪽 팔에 대해서도 같은 동작을 시행한다. 검사소견 1 양측을 비교하여 비대칭적인 결과가 나타난다면 양성소견(positive or +)이다. 환자가 반대쪽 어깨를 잡을 수 없다면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의 내전(adduction), 내회전(internal rotation) 및 수평굴곡(horizontal flexion)의 제한을 의미한다. 검사 2 환자는 팔을 머리 위로 하여 등을 긁을 때처럼 목뒤로 닿도록 한다. 반대쪽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한다. 검사소견 양측에서 비대칭적인 결과가 나타난다면 양성소견이다. 한쪽의 동작이 감소되어 있다면 이는 관절와상완관절(..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4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오늘은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네 번째입니다. 어깨가 마무리되겠군요.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죠. 상완골(Humerus)에 작용하는 근육(musc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의 움직임은 ​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 ; GH joint)의 움직임에 의해 일어납니다. 하지만 외관상 움직임은 위에서 언급한 견갑골(Scapula)과 관련된 관절들의 움직임과 ​ 상완골(Humerus)과 관련된 관절들의 움직임을 합친 어깨 관절 복합체 전체의 움직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깨 하면 지겹게 나오는 회전근개(Rotator cuff)를 알아봐야겠군요. ..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2 안녕하세요.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어깨 기능해부학 1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어깨복합체의 여러 관절들에 대해 하나씩 알아봤는데요. 내용이 길어서 중간에 한번 끊었습니다. 1편에 이어 계속해 나가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알아볼 관절은 관절와상완관절(GH joint)입니다. 관절와상완관절(GH joint)은 상완골두(Humerus head)의 큰 볼록면(convex)과 ​ 관절와(Glenoid fossa)의 얕은 오목면(concave) 사이에 형성된 관절이죠. ​ 견갑골(Scapula)의 관절와(Glenoid fossa)는 얕은 오목면이라 무언가 ​ 더 깊게 해서 안정성을 만들어줄 것이 필요한데요. 바로 관절와순(Labrum)입니다. ​ 이 섬유연골성(Fibrocartilage) 테투리에 의해 ..
어깨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 1 안녕하세요. ​ 스포츠 의학을 공부하는 정호쌤입니다. 하나씩 하나씩 옮기고 있는 중입니다. 지나서 보면 왜 저렇게 썼지라고 생각할 때도 있고 다시 한번 공부하며 정리했던 내용들도 생각나네요. 머릿속으로는 다 알고 있지만 그걸 정리해서 글로 옮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더라구요. 다시 공부도 하고 정리하고 글로 쓰면서 지웠다가 바꿨다가 반복 또 반복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럴텐데 차차 나아지겠죠?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겠네요. 오늘은 어깨의 기능해부학(Functional Anatomy of Shoulder)에 대해 ​ 알아보려 합니다. 어깨 관절 복합체(Shoulder complex)는 운동 범위가 광범위하면서도 ​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고 인체 내에서 가장 복잡한 관절입니다. ​ 운동 범위가..